“재난지원금, 끝났지만 끝난 게 아니다?”
2020~2022년 코로나 재난지원금을 통해 많은 분들이 정부의 직접 지원을 경험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이제 혜택은 끝난 거야?” 하고 포기한 분들이 많죠.
놀랍게도 지금도 받을 수 있는 ‘숨은 복지’가 여전히 많습니다.
특히 저소득층, 갑자기 어려워진 가정, 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꼭 챙겨보셔야 할 정책들이 있어요.
오늘은 놓치기 쉬운 “숨은 복지 5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1. 긴급복지지원제도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갑작스런 실직, 질병, 사고, 이혼, 화재 등으로 생계가 곤란해진 가정 누구나 - 무엇을 지원하나요?
생계비(최대 154만 원/4인 기준), 의료비(최대 300만 원), 주거·교육비 등 - 신청 방법: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또는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2. 한시 생계지원금 – 2024 연장형 지원
- 소득 기준 미달인데도 재난지원금 못 받았던 가구를 위한 맞춤형 복지
- 각 지자체별로 예산이 남은 경우 개별 접수 가능!
- 대부분 신청 마감 기간 없이 수시 접수 형태로 진행 중
- 지원금액: 1인 가구 기준 약 30만 원 이상 가능
📌 꼭 지자체 복지과나 복지포털에서 확인하세요!
3.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 누가 해당되나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등 - 어떤 혜택이 있나요?
전기·도시가스·연탄비 등 난방비 최대 59,000원까지 지원
여름철 냉방바우처도 별도 제공 - 신청 시기: 매년 여름·겨울 (상시 접수 아님!)
4. 아이돌봄서비스 정부 지원 확대
- 직장맘, 맞벌이 가구 필수 정보!
정부에서 시간당 최대 85%까지 비용 지원
(소득 기준 따라 1시간 1,000~3,000원에 아이돌봄 가능) - 대상: 만 12세 이하 아동을 둔 가정
- 서비스: 등하원 도우미, 일시돌봄, 긴급 돌봄 등
5. 지방세·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 매년 수천억 원이 주인 모르게 잠자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급금은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어요. - 지방세 환급: 위택스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지방세 환급금 조회’
- 건강보험 환급: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 ‘환급금 조회’
🎁 마무리 Tip!
이런 ‘숨은 복지’는 신청하지 않으면 절대 알아서 들어오지 않아요.
내가 해당될까? 싶어도 한 번 조회해보고, 상담센터에 전화해보는 것만으로도 정보의 반은 얻을 수 있습니다.
📞 전국 복지 상담번호 129번
👉 행정복지센터, 지자체 복지과, 복지로 홈페이지를 적극 활용하세요.
'쌉T의 모르면 손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공립 어린이집? 당첨되면 반은 성공이에요! (0) | 2025.04.18 |
---|---|
직장맘 필수 정보: 아동수당부터 육아휴직급여까지 싹 다 비교해봤어요 (0) | 2025.04.18 |
약자복지 관련 보건복지부 지원 항목 요약 + 관련 홈페이지 (1) | 2025.04.17 |
놓치면 손해! 2025년 지자체별 생활비 바우처 총정리 (서울·경기·부산 등) (0) | 2025.04.16 |
난자동결 시술비 부담 줄이기! 서울시·경기도 지원 정책 총정리 (5)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