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쌉T의 모르면 손해

내 집인데 땅은 나라 거? 2025 지분형 모기지, 3천만 원으로 내 집 마련하기

by ssapT 2025. 4. 20.

 


지분형 모기지
지분형 모기지

“요즘 집값 미쳤죠… 전세도 부담인데 집은 꿈도 못 꿔요.”
“대출 한도도 줄어들고, 신용도 부족한데 내 집 마련이 가능하긴 한가요?”

사실 가능합니다.
바로, 지분형 모기지라는 신개념 제도를 활용한다면요.

‘내가 건물(주택)만 소유하고, 토지는 공공기관과 공동 소유하는 방식’으로
매입 비용 부담은 줄이고, 주거 안정은 확보하는 신개념 정책 금융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2025년에도 청년·신혼부부·무주택자를 중심으로 확대 운영 중이죠.

지금부터 지분형 모기지란 무엇인지, 누가 신청할 수 있는지, 실제로 얼마나 이득인지
꼼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지분형 모기지란?

지분형 모기지는 쉽게 말해,
토지는 공공기관(LH 또는 SH)이 소유하고, 주택은 본인이 소유하여
초기 비용을 낮추고, 월세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 예를 들어:
3억 원짜리 집을 살 때,

  • 토지 1.5억: LH가 매입
  • 건물 1.5억: 내가 지분 소유
    → 나는 건물 가격만 부담하고 ‘내 집’을 소유하게 되는 구조!

어떤 장점이 있나요?

  • 초기 자금 부담 ↓: 총주택가격이 아니라 건물값만 준비하면 OK
  • 전세금 수준으로 내 집 마련 가능
  • 공공이 토지를 소유하므로 투기 방지 및 안정적 거주
  • 지분만큼만 재산세 납부, 부담 절감
  • 나중에 전체 매입 가능 (공공 지분 매수 가능)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조건                                                     내용 
🎯 대상자 무주택자, 청년, 신혼부부,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등
💼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40% 이하 (맞벌이는 160%까지)
💰 자산 기준 총자산 3.25억 원 이하 (2025 기준)
🏘️ 대상 주택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가격 5억 이하, 투기지역 외

LH와 SH 공공주택 공급 시 우선 매입 기회 제공


신청 절차는?

  1. LH청약센터 또는
    SH공사 홈페이지 공고 확인
  2. 지분형 모기지 신청 → 대상자 선정 → 계약 체결
  3. 입주 후 최대 20년까지 거주 가능, 중도 매입도 가능

💡 일반 시중 주택 구입 시에도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토지를 매입하고 지분 거래 방식으로 지원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 전세 2억을 모았다면? → 서울 외곽 신축 빌라 건물 지분 확보 가능
  • 신혼부부 전용 분양 단지에 청약 도전 + 지분형 계약
  • 20년 후 전체 매입으로 진짜 100% 내 집 만들기

유의할 점은?

  • 건물만 소유하므로, 토지에 대한 임대료가 발생할 수 있음
  • 매각 시 지분 구조에 따라 제한 있을 수 있음
  • 공공 토지를 활용한 경우에만 해당, 민간 주택은 적용 안 됨

🔗 관련 홈페이지 안내